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BM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BMX 경기는 중국 베이징의 라오산 BMX 경기장에서 열렸다. 32명의 선수가 개인 타임 트라이얼로 시드를 결정한 후, 8강 조별 리그와 준결승을 거쳐 결승에서 메달 색깔을 가렸다. 라트비아의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가 금메달을, 미국의 마이크 데이가 은메달, 도니 로빈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개인 추발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개인 추발 경기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레베카 로메로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단체 스프린트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단체 스프린트는 2008년 8월 15일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영국이 금메달을, 프랑스가 은메달을,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사이클 -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프랑스 파리에서 남자 스프린트와 25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벨로드롬 드 뱅센에서 열린 경기에서 프랑스가 압도적인 우세를 나타냈다. - 올림픽 사이클 -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들만 참가한 가운데 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커스 헐리와 버튼 다우닝을 필두로 미국이 모든 메달을 휩쓸었다. - 올림픽 사이클에 관한 -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프랑스 파리에서 남자 스프린트와 25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벨로드롬 드 뱅센에서 열린 경기에서 프랑스가 압도적인 우세를 나타냈다. - 올림픽 사이클에 관한 -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들만 참가한 가운데 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커스 헐리와 버튼 다우닝을 필두로 미국이 모든 메달을 휩쓸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BMX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남자 BMX 사이클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픽토그램 | Cycling (BMX) pictogram.svg |
영어 종목명 | Cycling at the Beijing 2008 Individual BMX Men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개최지 | 베이징 |
경기장 | 라오산 BMX 경기장 |
날짜 | 2008년 8월 20일 (시드 및 쿼터파이널), 2008년 8월 22일 (준결승 및 결승) |
참가 선수 | 32 |
참가국 | 20 |
다음 대회 | 2012 |
메달 정보 | |
금메달 |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 |
금메달 국가 | LAT |
은메달 | 마이크 데이 |
은메달 국가 | USA |
동메달 | 도니 로빈슨 |
동메달 국가 | USA |
우승 기록 | 36.190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BMX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라오산 BMX 경기장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라오산 BMX 경기장 | 전 경기 |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5]
3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개인 타임 트라이얼로 시드를 결정한다.[4] 시드에 따라 4개의 8강 조로 나누어, 각 조는 3번의 레이스를 진행한다.[4] 각 조 상위 4명의 사이클리스트(총 16명)가 준결승에 진출한다.[4] 준결승은 2개 조로 나누어 3번의 레이스를 진행, 각 조 상위 4명이 결승에 진출한다 (총 8명).[4] 결승은 단 한 번의 레이스로 진행되며, 메달 순위가 결정된다.[4]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경기 2008년 8월 20일 9:00 ~ 9:45 독주 1차 10:15 ~ 11:00 독주 2차 11:40 ~ 12:48 준준결선 1차 ~ 3차 2008년 8월 22일 9:08 ~ 9:16 준결선 1차 9:38 ~ 9:46 준결선 2차 10:08 ~ 10:16 준결선 3차 10:40 ~ 10:45 결선
4. 경기 방식
5. 경기 결과
5. 1. 시딩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BMX 시딩은 2008년 8월 20일에 진행되었다. 선수들의 예선 기록을 바탕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9시부터 9시 45분까지 타임 트라이얼 1차 시기가, 10시 15분부터 11시까지 타임 트라이얼 2차 시기가 진행되었다. 이후 11시 40분부터 12시 48분까지 세 차례의 예선 회전이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기록 | 비고 |
---|---|---|---|
1 | 마이크 데이/Mike Day영어 (미국) | 35.692 | |
2 | 마리스 슈트롬베르그스/Māris Štrombergslv (라트비아) | 35.910 | |
3 | 다미앙 고데/Damien Godet프랑스어 (프랑스) | 36.008 | |
4 | 아르투르스 마티손스/Artūrs Matisonslv (라트비아) | 36.072 | |
5 | 레이먼 반 데르 비즌/Raymon van der Biezennl (네덜란드) | 36.112 | |
6 | 세르히오 살라사르/Sergio Salazares (콜롬비아) | 36.145 | |
7 | 아우구스토 카스트로/Augusto Castroes (콜롬비아) | 36.301 | |
8 | 조나단 수아레스/Jonathan Suárezes (베네수엘라) | 36.325 | |
9 | 안드레스 히메네스/Andrés Jiménezes (콜롬비아) | 36.339 | |
10 | 마누엘 데 베치/Manuel de Vecchiit (이탈리아) | 36.351 | |
11 | 자레드 그레이브스/Jared Graves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36.372 | |
12 | 카일 베넷/Kyle Bennett영어 (미국) | 36.421 | |
13 | 시피소 은라포/Sifiso Nhlapo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36.428 | |
14 | 로저 린더크네흐트/Roger Rinderknechtde (스위스) | 36.466 | |
15 | 카마카지/Kamakazi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36.492 | |
16 | 이보 라쿠치스/Ivo Lakučslv (라트비아) | 36.509 | |
17 | 마크 윌러스/Marc Willers영어 (뉴질랜드) | 36.519 | |
18 | 롭 반 덴 빌덴베르흐/Rob van den Wildenbergnl (네덜란드) | 36.522 | |
19 | 토마 알리에/Thomas Allier프랑스어 (프랑스) | 36.649 | |
20 | 미할 프로코프/Michal Prokopcs (체코) | 36.689 | |
21 | 라미로 마리노/Ramiro Marinoes (아르헨티나) | 36.768 | |
22 | 루크 매딜/Luke Madill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36.795 | |
23 | 로베르트 데 빌데/Robert de Wildenl (네덜란드) | 36.803 | |
24 | 도니 로빈슨/Donny Robinson영어 (미국) | 36.810 | |
25 | 에밀리오 팔라/Emilio Fallaes (에콰도르) | 36.993 | |
26 | 스콧 어우드/Scott Erwood영어 (캐나다) | 37.050 | |
27 | 크리스티안 베세리네/Cristian Becerinees (아르헨티나) | 37.253 | |
28 | 리암 필립스/Liam Phillips영어 (영국) | 37.392 | |
29 | 헨리크 발처센/Henrik Baltzersenda (덴마크) | 37.635 | |
30 | 세바스티안 카르트피오르드/Sebastian Kartfjordno (노르웨이) | 38.688 | |
31 | 빌모스 라다시치/Vilmos Radasicshu (헝가리) | 38.830 | |
32 | 사카모토 아키후미/Akifumi Sakamoto일본어 (일본) | 40.548 |
5. 2. 8강
참가 선수 32명이 4개 조로 나뉘어 각각 3번씩 경기를 치렀다. 각 조별 순위는 세 번의 경기에서 얻은 순위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되었으며, 순위 점수가 낮은 상위 4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조 | 선수 | 1차전 | 2차전 | 3차전 | 순위 점수 | 비고 |
---|---|---|---|---|---|---|
1조 | 마이크 데이 (미국) | 1 (36.170) | 1 (36.080) | 1 (36.122) | 3 | 준결승 |
마크 윌러스 (뉴질랜드) | 4 (47.614) | 3 (36.253) | 2 (36.278) | 9 | 준결승 | |
도니 로빈슨 (미국) | 6 (48.906) | 2 (36.235) | 3 (36.490) | 11 | 준결승 | |
안드레스 히메네스 (콜롬비아) | 2 (36.619) | 5 (36.939) | 4 (36.660) | 11 | 준결승 | |
호나탄 수아레스 프레이테스 (베네수엘라) | 8 (53.614) | 4 (36.481) | 5 (36.789) | 17 | ||
에밀리오 파야 (에콰도르) | 3 (37.080) | 6 (37.381) | 8 (1:02.877) | 17 | ||
사카모토 아키후미 (일본) | 5 (48.487) | 8 (42.614) | 6 (40.046) | 19 | ||
이보 라크추스 (라트비아) | 7 (53.300) | 7 (39.213) | 7 (57.461) | 21 | ||
2조 | 시피소 눤라포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36.796) | 2 (36.325) | 1 (36.507) | 6 | 준결승 |
아르투르스 마티손스 (라트비아) | 1 (35.903) | 3 (36.819) | 2 (37.037) | 6 | 준결승 | |
레이몬 판 데르 비젠 (네덜란드) | 4 (37.205) | 1 (35.878) | 5 (1:04.709) | 10 | 준결승 | |
카일 베넷 (미국) | 2 (36.639) | 4 (37.146) | 8 (DNF) | 14 | 준결승 | |
헨리크 발테르센 (덴마크) | 8 (38.561) | 5 (39.083) | 3 (38.846) | 16 | ||
미할 프로코프 (체코) | 7 (38.535) | 7 (41.915) | 4 (56.171) | 18 | ||
라이엄 필립스 (영국) | 5 (37.773) | 6 (41.219) | 7 (1:27.010) | 18 | ||
라미로 마리노 (아르헨티나) | 6 (38.202) | 8 (DNF) | 6 (1:16.617) | 20 | ||
3조 | 마리스 슈트롬베르그스 (라트비아) | 1 (36.762) | 1 (35.934) | 5 (40.628) | 7 | 준결승 |
롭 판 덴 빌덴베르흐 (네덜란드) | 2 (37.403) | 5 (37.024) | 1 (37.176) | 8 | 준결승 | |
마누엘 데 베키 (이탈리아) | 3 (37.416) | 6 (37.284) | 2 (37.840) | 11 | 준결승 | |
카마카지 (오스트레일리아) | 7 (42.377) | 3 (36.785) | 3 (38.463) | 13 | 준결승 | |
아우구스토 카스트로 (콜롬비아) | 4 (37.609) | 4 (36.992) | 6 (42.473) | 14 | ||
빌모스 라다시크스 (헝가리) | 6 (38.725) | 8 (39.220) | 4 (39.276) | 18 | ||
로베르토 데 빌데 (네덜란드) | 8 (54.105) | 2 (36.237) | 8 (1:08.185) | 18 | ||
스콧 에어우드 (캐나다) | 5 (37.989) | 7 (37.653) | 7 (50.052) | 19 | ||
4조 | 재러드 그레이브스 (오스트레일리아) | 1 (38.067) | 2 (36.496) | 1 (36.076) | 4 | 준결승 |
크리스티안 베세리네 (아르헨티나) | 2 (38.399) | 7 (42.733) | 2 (36.985) | 11 | 준결승 | |
로거 린더크네히트 (스위스) | 8 (54.234) | 1 (36.462) | 3 (37.136) | 12 | 준결승 | |
다미앙 고데 (프랑스) | 3 (41.241) | 4 (40.221) | 6 (38.023) | 13 | 준결승 | |
세르히오 사라사르 (콜롬비아) | 7 (54.216) | 3 (37.479) | 5 (37.573) | 15 | ||
토마 아리에 (프랑스) | 4 (41.594) | 5 (41.043) | 7 (38.037) | 16 | ||
루크 마딜 (오스트레일리아) | 6 (51.198) | 8 (1:02.432) | 4 (37.420) | 18 | ||
세바스티안 칼토프투드 (노르웨이) | 5 (42.658) | 6 (42.625) | 8 (38.821) | 19 |
5. 2. 1. 1조
순위 | 선수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합계 | 비고 |
---|---|---|---|---|---|---|
1 | 마이크 데이 (미국) | 36.170 (1) | 36.080 (1) | 36.122 (1) | 3 | Q |
2 | 마크 윌러스 (뉴질랜드) | 47.614 (4) | 36.253 (3) | 36.278 (2) | 9 | Q |
3 | 도니 로빈슨 (미국) | 48.906 (6) | 36.235 (2) | 36.490 (3) | 11 | Q |
4 | 안드레스 히메네스 (콜롬비아) | 36.619 (2) | 36.939 (5) | 36.660 (4) | 11 | Q |
5 | 조나단 수아레스 (베네수엘라) | 53.614 (8) | 36.481 (4) | 36.789 (5) | 17 | |
6 | 에밀리오 팔라 (에콰도르) | 37.080 (3) | 37.381 (6) | 1:02.877 (8) | 17 | |
7 | 사카모토 아키후미 (일본) | 48.487 (5) | 42.614 (8) | 40.046 (6) | 19 | |
8 | 이보 라쿠츠 (라트비아) | 53.300 (7) | 39.213 (7) | 57.461 (7) | 21 |
'''Q''' 준결선 진출
5. 2. 2. 2조
순위 | 이름 | 1차 | 2차 | 3차 | 합계 | 비고 |
---|---|---|---|---|---|---|
1 | 시피소 은할라포 (남아프리카 공화국) | 36.796 (3) | 36.325 (2) | 36.507 (1) | 6 | Q |
2 | 아르투르스 마티손스 (라트비아) | 35.903 (1) | 36.819 (3) | 37.037 (2) | 6 | Q |
3 | 레이먼 판 데르 비즌 (네덜란드) | 37.205 (4) | 35.878 (1) | 1:04.709 (5) | 10 | Q |
4 | 카일 베넷 (미국) | 36.639 (2) | 37.146 (4) | (8) | 14 | Q |
5 | 헨리크 발처슨 (덴마크) | 38.561 (8) | 39.083 (5) | 38.846 (3) | 16 | |
6 | 미할 프로코프 (체코) | 38.535 (7) | 41.915 (7) | 56.171 (4) | 18 | |
7 | 리암 필립스 (영국) | 37.773 (5) | 41.219 (6) | 1:27.010 (7) | 18 | |
8 | 라미로 마리노 (아르헨티나) | 38.202 (6) | (8) | 1:16.617 (6) | 20 |
5. 2. 3. 3조
순위 | 선수 | 1차전 | 2차전 | 3차전 | 순위 점수 | 비고 |
---|---|---|---|---|---|---|
1 |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 (라트비아) | 1 (36.762) | 1 (35.934) | 5 (40.628) | 7 | 준결승 |
2 | 롭 반덴 빌덴베르그 (네덜란드) | 2 (37.403) | 5 (37.024) | 1 (37.176) | 8 | 준결승 |
3 | 마누엘 데 베치 (이탈리아) | 3 (37.416) | 6 (37.284) | 2 (37.840) | 11 | 준결승 |
4 | 카마카지 (오스트레일리아) | 7 (42.377) | 3 (36.785) | 3 (38.463) | 13 | 준결승 |
5 | 아우구스토 카스트로 (콜롬비아) | 4 (37.609) | 4 (36.992) | 6 (42.473) | 14 | |
6 | 러더시치 빌모스 (헝가리) | 6 (38.725) | 8 (39.220) | 4 (39.276) | 18 | |
7 | 로베르트 데 빌데 (네덜란드) | 8 (54.105) | 2 (36.237) | 8 (1:08.185) | 18 | |
8 | 스콧 에우드 (캐나다) | 5 (37.989) | 7 (37.653) | 7 (50.052) | 19 |
5. 2. 4. 4조
순위 | 선수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자레드 그레이브스 (AUS) | 1 (38.067) | 2 (36.496) | 1 (36.076) | 4 | Q |
2 | 크리스티안 베케리네 (ARG) | 2 (38.399) | 7 (42.733) | 2 (36.985) | 11 | Q |
3 | 로저 린데르크네흐트 (SUI) | 8 (54.234) | 1 (36.462) | 3 (37.136) | 12 | Q |
4 | 다미엔 고데트 (FRA) | 3 (41.241) | 4 (40.221) | 6 (38.023) | 13 | Q |
5 | 세르기로 살라자르 (COL) | 7 (54.216) | 3 (37.479) | 5 (37.573) | 15 | |
6 | 토마스 알리에르 (FRA) | 4 (41.594) | 5 (41.043) | 7 (38.037) | 16 | |
7 | 루크 마딜 (AUS) | 6 (51.198) | 8 (1:02.432) | 4 (37.420) | 18 | |
8 | 세바스티안 카르트피요르드 (NOR) | 5 (42.658) | 6 (42.625) | 8 (38.821) | 19 |
'''Q''' 준결선 진출
5. 3. 준결승
2008년 8월 22일에 진행된 준결승에서는 진출한 16명의 선수가 2개 조로 나뉘어 각각 3번씩 경주를 펼쳤다. 각 조별 순위 점수가 낮은 상위 4명(총 8명)이 결승에 진출했다.순위 | 선수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마이크 데이 (미국) | 1 (36.470) | 1 (36.219) | 3 (37.461) | 5 | Q |
2 | 시피소 은흘라포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37.197) | 3 (36.597) | 2 (36.457) | 8 | Q |
3 | 도니 로빈슨 (미국) | 2 (36.832) | 2 (36.462) | 6 (56.249) | 10 | Q |
4 | 안드레스 히메네스 (콜롬비아) | 4 (37.363) | 4 (36.862) | 5 (44.507) | 13 | Q |
5 | 라이몬 반 데 비에젠 (네덜란드) | 7 (55.121) | 6 (37.258) | 1 (36.200) | 14 | |
6 | 카일리 버넷 (미국) | 5 (43.518) | 5 (37.200) | 4 (43.897) | 14 | |
7 | 아르투르스 마티손스 (라트비아) | 6 (53.379) | 8 (1:17.170) | 8 (DNF) | 22 | |
8 | 마크 윌러스 (뉴질랜드) | 8 (1:22.619) | 7 (43.256) | 8 (DNF) | 23 |
순위 | 선수 | 1차 레이스 | 2차 레이스 | 3차 레이스 | 순위 점수 | 비고 |
---|---|---|---|---|---|---|
1 |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 (라트비아) | 1 (36.485) | 1 (35.969) | 1 (36.071) | 3 | 결선 진출 |
2 | 로브 반덴 빌덴베르그 (네덜란드) | 3 (37.277) | 2 (36.360) | 4 (37.496) | 9 | 결선 진출 |
3 | 자레드 그레이브스 (오스트레일리아) | 2 (36.904) | 5 (39.296) | 3 (37.242) | 10 | 결선 진출 |
4 | 다민 고데트 (프랑스) | 4 (37.410) | 4 (36.707) | 6 (37.805) | 14 | 결선 진출 |
5 | 크리스티안 베케리네 (아르헨티나) | 5 (37.480) | 8 (DNF) | 2 (37.079) | 15 | |
6 | 카마카지 (오스트레일리아) | 7 (42.551) | 6 (41.256) | 5 (37.497) | 18 | |
7 | 로게르 린데르크네흐트 (스위스) | 8 (DNF) | 3 (36.610) | 8 (48.734) | 19 | |
8 | 마누엘 데 베치 (이탈리아) | 6 (38.018) | 7 (42.148) | 7 (38.208) | 20 |
5. 3. 1. 1조
순위 | 선수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마이크 데이 (미국) | 1 (36.470) | 1 (36.219) | 3 (37.461) | 5 | Q |
2 | 시피소 은흘라포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37.197) | 3 (36.597) | 2 (36.457) | 8 | Q |
3 | 도니 로빈슨 (미국) | 2 (36.832) | 2 (36.462) | 6 (56.249) | 10 | Q |
4 | 안드레스 히메네스 (콜롬비아) | 4 (37.363) | 4 (36.862) | 5 (44.507) | 13 | Q |
5 | 라이몬 반 데 비에젠 (네덜란드) | 7 (55.121) | 6 (37.258) | 1 (36.200) | 14 | |
6 | 카일리 버넷 (미국) | 5 (43.518) | 5 (37.200) | 4 (43.897) | 14 | |
7 | 아르투르스 마티손스 (라트비아) | 6 (53.379) | 8 (1:17.170) | 8 (DNF) | 22 | |
8 | 마크 윌러스 (뉴질랜드) | 8 (1:22.619) | 7 (43.256) | 8 (DNF) | 23 |
'''Q''' 결선 진출
5. 3. 2. 2조
순위 | 선수 | 1차 레이스 | 2차 레이스 | 3차 레이스 | 순위 점수 | 비고 |
---|---|---|---|---|---|---|
1 |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 (라트비아) | 1 (36.485) | 1 (35.969) | 1 (36.071) | 3 | 결선 진출 |
2 | 로브 반덴 빌덴베르그 (네덜란드) | 3 (37.277) | 2 (36.360) | 4 (37.496) | 9 | 결선 진출 |
3 | 자레드 그레이브스 (오스트레일리아) | 2 (36.904) | 5 (39.296) | 3 (37.242) | 10 | 결선 진출 |
4 | 다민 고데트 (프랑스) | 4 (37.410) | 4 (36.707) | 6 (37.805) | 14 | 결선 진출 |
5 | 크리스티안 베케리네 (아르헨티나) | 5 (37.480) | 8 (DNF) | 2 (37.079) | 15 | |
6 | 카마카지 (오스트레일리아) | 7 (42.551) | 6 (41.256) | 5 (37.497) | 18 | |
7 | 로게르 린데르크네흐트 (스위스) | 8 (DNF) | 3 (36.610) | 8 (48.734) | 19 | |
8 | 마누엘 데 베치 (이탈리아) | 6 (38.018) | 7 (42.148) | 7 (38.208) | 20 |
5. 4. 결승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BMX 결승 경기는 2008년 8월 22일에 한 차례의 경주로 진행되었다.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LAT)가 36.190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마이크 데이(USA)가 36.606초로 은메달, 도니 로빈슨(USA)이 36.972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안드레스 히메네스(COL)는 39.137초로 4위, 롭 판 덴 빌덴베르크(NED)는 39.772초로 5위, 자레드 그레이브스(AUS)는 2분 19.233초로 6위를 기록했다. 시피소 엠라포 (RSA)와 다미앙 고데(FRA)는 경기를 완료하지 못했다.(DNF)순위 | 선수 | 기록 | 비고 |
---|---|---|---|
16x16px |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LAT) | 36.190 | |
16x16px | 마이크 데이(USA) | 36.606 | |
16x16px | 도니 로빈슨(USA) | 36.972 | |
4 | 안드레스 히메네스(COL) | 39.137 | |
5 | 롭 판 덴 빌덴베르크(NED) | 39.772 | |
6 | 자레드 그레이브스(AUS) | 2:19.233 | |
7 | 시피소 엠라포(RSA) | DNF | |
8 | 다미앙 고데(FRA) | DNF |
6. 메달리스트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BMX | 마리스 슈트롬베르크스 (라트비아) | 마이크 데이 (미국) | 도니 로빈슨 (미국) |
7. 대한민국 선수
참조
[1]
뉴스
US Grabs BMX Silver, Bronze
http://www.newser.co[...]
Newser
2013-10-17
[2]
뉴스
Strombergs of Latvia wins first-ever Olympic men's BMX gold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3-10-17
[3]
URL
http://uci.ch/includ[...]
[4]
웹사이트
BMX Competition Format
https://web.archive.[...]
NBC Olympics
2013-10-20
[5]
웹사이트
BMX: Results and Schedules
https://web.archive.[...]
NBC Olympics
2013-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